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페테리 오르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유호 쿠스티 파시키비라우리 잉그만카를로 카스트렌유호 벤놀라
제6대제5대²제7대제8대제7대²
라파엘 에리히유호 벤놀라아이모 카얀데르퀴외스티 칼리오아이모 카얀데르
제3대²제9대제8대²제10대제11대
라우리 잉그만안티 툴렌헤이모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탄네르유호 수닐라
제12대제8대³초대²제11대²제13대
오스카리 만테레퀴외스티 칼리오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유호 수닐라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제8대⁴제7대³제14대제15대제16대
퀴외스티 칼리오아이모 카얀데르리스토 뤼티요한 빌헬름 랑겔에드빈 링코미에스
제17대제18대제2대²제19대제20대
안티 하크첼우르호 카스트렌유호 쿠스티 파시키비마우노 페칼라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
제21대제22대제23대제21대²제20대²
우르호 케코넨사카리 투오미오야랄프 퇴른그렌우르호 케코넨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
제24대제25대제26대제20대³제24대²
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라이너 폰 피안트레이노 쿠스코스키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제31대
마르티 미에투넨아티 카랼라이넨레이노 라그나르 레토요한네스 비롤라이넨라파엘 파시오
제32대제33대제28대²제33대²제31대²
마우노 코이비스토테우보 아우라아티 카랼라이넨테우보 아우라라파엘 파시오
제34대제35대제27대²제34대²제32대²
칼레비 소르사케이요 리나마마르티 미에투넨칼레비 소르사마우노 코이비스토
제34대³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칼레비 소르사하리 홀케리에스코 아호파보 리포넨안넬리 얘텐매키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마티 반하넨마리 키비니에미위르키 카타이넨알렉산데르 스투브유하 시필래
제45대제46대제47대
안티 리네산나 마린페테리 오르포
핀란드 대통령




페테리 오르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오스카리 토코이카를로 유호 스톨베리쿨레르보 만네르요하네스 룬드손
제6대제7대제6대²제8대제9대
라우리 잉그만에르네스트 에반린나라우리 잉그만파보 비르쿠넨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제10대제11대제10대²제11대²제8대²
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우올리요키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우올리요키파보 비르쿠넨
제10대³제11대³제8대³제10대⁴제8대⁴
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우올리요키파보 비르쿠넨퀴외스티 칼리오파보 비르쿠넨
제10대⁵제8대⁵제12대제10대⁶제13대
퀴외스티 칼리오파보 비르쿠넨유호 수닐라퀴외스티 칼리오배이뇌 하킬라
제14대제15대제14대²제16대제14대³
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우르호 케코넨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
제16대²제14대⁴제17대제14대⁵제18대
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카우노 클레몰라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라파엘 파시오
제19대제16대³제18대²제16대⁴제20대
요하네스 비롤라이넨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라파엘 파시오비에노 유시 숙셀라이넨베이코 헬레
제21대제19대²제22대제23대제24대
아티 페칼라요하네스 비롤라이넨에르키 피스티넨일카 수오미넨마티 아데
제25대제26대제23대²제27대제28대
칼레비 소르사에스코 아호일카 수오미넨리타 우오수카이넨파보 리포넨
제27대²제29대제27대³제30대제28대²
리타 우오수카이넨유카 미콜라리타 우오수카이넨안넬리 얘텐매키파보 리포넨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티모 칼리사울리 니니스퇴벤 지스코비츠에로 헤이내루오마유하 시필래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마리아 로헬라파울라 리시코안티 린네마티 반하넨아누 베빌래이넨
제39대²제41대제42대
마티 반하넨페테리 오르포유시 할라아호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공산국가의 수상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민주진보당
무소속
푸슈파 카말 다할 (3기)천젠런한덕수 (2기)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라오 인민혁명당
무소속
샤나나 구스망 (2기)쏜싸이 씨판돈나지브 미카티 (3기)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몽골 인민당
무소속
안와르 이브라힘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아와미 연맹
베트남 공산당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셰이크 하시나 (4기)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파일:북한 국기.svg 북한**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부탄연합당
조선로동당
무소속
로타이 체링김덕훈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스리랑카 인민전선
바트당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디네쉬 구나와데나후세인 아르누스 (2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무소속
탈레반
리셴룽 (5기)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하산 아훈드 (권한대행)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파일:오만 국기.svg 오만*****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무소속
무소속
마인 압둘말리크 사이드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이슬람 다와당
리쿠드
압둘라 아리포프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베냐민 네타냐후 (6기)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자유민주당
중국공산당
나렌드라 모디 (2기)기시다 후미오 (2기)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무소속
캄보디아 인민당
앨리한 스마이을로프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아르 나므스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의 장남)아킬베크 자파로프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발루치스탄 아와미당
파타
세타 타위신안와르 울 하크 카카르 (권한대행)무함마드 이슈타이야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무소속
자유민주인민당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기)주소이트 콘스탄틴마르크 뤼터 (4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요나스 가르 스퇴레메테 프레데릭센 (2기)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단결
무소속
사회민주당
크리샤니스 카린시 (2기)미하일 미슈스틴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민주당
무소속
애국연합
그자비에 베텔 (2기)잉그리다 시모니테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개혁행동연대
무소속
피에르 다르투드리탄 아바조비치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
무소속
Open VLD
로버트 아벨라 (2기)피에트로 파롤린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독립사회민주연대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라만 할로우찬카 (2기)보랴나 크리슈토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우리는 변화를 계속한다
세르비아 진보당
위날 위스텔니콜라이 덴코프아나 브르나비치 (3기)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중도당
스페인 사회노동당
울프 크리스테르손발터 투른헤어 (2기)페드로 산체스 (2기)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방향-사회민주주의
자유운동
시민계약
로베르트 피초로베르트 골로프니콜 파시냔 (3기)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좌파녹색운동
피너 게일
무소속
카트린 야콥스도티르 (2기)리오 버래드커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알바니아 사회당
아이타이라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기)에디 라마 (3기)알렉산드르 안콰브 (2기)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파일:영국 국기.svg 영국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보수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카야 칼라스 (3기)리시 수낙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이탈리아의 형제들
조지아의 꿈
데니스 시미할조르자 멜로니이라클리 가리바슈빌리 (2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자결당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페트르 피알라알빈 쿠르티 (2기)안드레이 플렌코비치 (2기)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당
법과 정의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안토니우 코스타 (3기)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2기)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국민연합당
청년민주동맹
엘리자베트 보른 (2기)페테리 오르포오르반 빅토르 (5기)
[ 아메리카 ]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레몽 은동 시마 (임시)베르나르 구무 (임시)제랄도 마틴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무소속
번영을 위한 혁명
사라 쿠공겔롸 (2기)알리 라민 제인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
무소속
무소속
에두아르 응기렌테 (2기)압둘 하미드 드베이베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독립국민연합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아지즈 아칸누시프래빈드 주그노트 (2기)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모잠비크 해방전선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모하메드 울드 빌랄아드리아누 말레이안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폴리사리오 전선
독립민주행동당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평화개발연합당
무소속
아마두 바함자 압디 바레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아이멘 베나브데라마네음과과 가메체 (권한대행)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민족저항운동
무소속
아비 아머드로비나 나반자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펠릭스 몰루아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기)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민주재건국가연합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민주운동
살레 케브자보조셉 응구테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콩고 노동당
콩고의 미래
로베르 뵈그레 맘베아나톨 콜리넷 마코소장미셸 사마 루콘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카심 마잘리와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아메드 하차니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핀란드 제47대 총리
안티 페테리 오르포
Antti Petteri Orpo
파일:Petteri-Orpo-01_(cropped).jpg
출생1969년 11월 3일 (54세)
사타쿤타 쾨윌리외
재임기간제47대 총리
2023년 6월 20일 ~ 현직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니나 카니아이넨오르포
자녀2명
학력투르쿠 대학교 (정치학 / 석사)
종교개신교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신체175cm
정당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핀란드의 제47대 총리.


2. 생애[편집]


1969년 사타쿤타의 쾨윌리외에서 태어났다. 징병제 국가의 특성상 젊을 때 예비군 장교로 입대하여 대위까지 복무하기도 했다. 2007년 핀란드 의회 총선거에서 처음으로 의원에 당선되어 현재는 핀란드 의회의 5선 의원이다.

중앙당 소속 유하 시필레 총리가 이끄는 내각에서 2014년부터 2015년까지 농림부 장관, 2015년부터 2016년까지 내무부 장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2016년부터 국민연합당의 대표로 재임 중이며, 2023년 핀란드 의회 총선거에서 국민연합당이 원내 제1당으로 올라섬에 따라 차기 총리가 될 가능성이 높은 인물이다.

선거 이후인 4월 12일, 원내 1당 대표 자격으로 투표를 통해 제41대 핀란드 의회의장으로 취임했다. 차기 정부 구성까지 임시로 직을 맡게 된다.#

6월 15일, 총선 후 두달만에 강경우파 핀인당을 포함한 3개 정당과 함께 우파 연정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연정은 유엔 난민기구를 통한 합법적 난민 수용 규모를 현행 연간 1,050명에서 500명으로 절반 이상 감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6월 20일, 국민연합당-핀인당-기독교민주당-핀란드 스웨덴인당의 4당 내각을 구성하고 인준을 받아 총리로 취임했다. 대신 후임 의회의장은 핀인당유시 할라아호 전 대표가 맡게 되었다.

그러나 내각 구성이 끝나자마자 핀인당 소속의 빌헬름 윤닐라(Vilhelm Junnila) 경제부 장관이 네오나치임이 밝혀지면서 얼마 못가 장관이 사임하는 불상사를 겪었는데#, 후임 경제부 장관으로 취임한 핀인당 소속 빌레 뤼드만(Wille Rydman) 장관 역시 인종차별 및 스토킹 성범죄 혐의에 걸리면서 내각에 대한 통제력이 벌써부터 의심받는 형국이 되었다.#

뒤이어 핀인당 소속 리카 푸라(Riikka Purra) 부총리까지 과거 인터넷에 이슬람 혐오 발언을 수차례 게재했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문제가 되었다. 처음에는 푸라 부총리가 사과를 거부했지만, 아예 사울리 니니스퇴 대통령이 나서서 경고하자 어쩔수 없이 사과했다. 하지만 그 사과내용이 4과문에 가깝고 오르포 총리가 해당 게시물들이 여성권 옹호를 위한 내용이었다는 말도 안되는 변명을 하고 있는지라 얼마나 진심이 담긴 내용이었을지는 뻔히 알 수 있는 일이다.

덕분에 정권 시작부터 극우 정부, 인종차별 정부라는 오명 속에 지지율이 23.6%로 폭락했고(반대 61.7%)#, 정권 붕괴 문제까지 언급되자 일단 8월 31일에 내각 명의로 차별과 인종차별에 맞서기 위한 새로운 조치를 취하겠다고 선언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15:56:06에 나무위키 페테리 오르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